- 일,공휴일 휴진 - 토요일은 점심시간 없이 진료합니다.
머릿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주의해야 할 전조증상은 [인터뷰]
뇌동맥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파열되면 생명을 위협하는 뇌출혈로 이어질 수 있다. 신경외과 전문의 전홍준 교수(한림대학교 강동성심병원)는 "뇌동맥류는 혈관벽의 일부가 약해지면서 지속적인 혈류 압력과 스트레스 때문에 혈관이 풍선처럼 늘어나는 것"이라며, 조기 발견과 정기 검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 교수와 함께 머릿속 시한폭탄과 같은 '뇌동맥류'의 원인과 증상, 위험성을 자세히 짚어봤다.
q. 뇌동맥류가 생긴다는 것은 어떤 상태를 의미하나요?
뇌동맥류는 뇌혈관이 지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혈관 벽의 특정 부위가 약해져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혈관 벽은 안쪽, 중간, 바깥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중 한 쪽이 약해지면 점차 혈관벽이 늘어나면서 '꽈리' 모양처럼 부풀게 됩니다. 의학적으로 이를 뇌동맥류라고 합니다. 혈관 구조의 변화와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작은 혈관벽이 점차 자라나는 것입니다.
q. 뇌동맥류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원인은 다양합니다. 특정 원인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혈관 결손 부위에 지속적인 혈류 스트레스와 압력이 가해지면서 구조 변화가 시작됩니다. 통계적으로 40~60대 남녀 100명을 뇌혈관 검사하면 한두 명 정도에서 발견될 정도로 생각보다 흔합니다. 모든 경우가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자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자연 발생적 뇌동맥류는 뇌졸중처럼 갑자기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라, 인체 노화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유전적 요인, 결합 조직 문제, 흡연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가족력도 중요한 위험 요소로, 직계 가족 중 뇌출혈이나 뇌동맥류 병력이 있다면 주기적 검진이 권장됩니다.
q. 주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뇌동맥류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혈관 크기가 1~2mm의 작은 뇌동맥류는 주변 뇌 조직이나 뇌신경을 압박하지 않아 불편감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조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강도가 평소와 다른 두통입니다. 또한 어지럼증, 쓰러질 것 같은 느낌, 시야 변화, 눈 처짐(안검하수)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가 커져 시신경을 누르면 시야가 좁아지거나, 후두부 신경을 눌러 청력 이상이나 떨림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뇌동맥류는 일반적으로 서서히 자라나며, 연 단위 변화가 대부분입니다. 드물게 며칠 사이 급격히 변화할 경우, 두통 등이 전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관 모양이 불규칙하게 변하거나, 한쪽으로 돌출되는 새로운 소형 뇌동맥류가 생기는 현상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두통이 전조로 나타났던 것이죠.
q. 뇌동맥류는 왜 위험한가요?
뇌동맥류의 가장 큰 문제는 뇌출혈입니다.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출혈로 인한 사망률이 심근경색보다 높습니다. 일부는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도 있지만, 초기에 파열된 경우 사망 확률이 높습니다. 환자들과의 상담에 따르면 파열 시 경험하는 두통은 기존에 느껴본 적 없는 수준의 강도이며, 목 뻣뻣함과 함께 시야 흐림, 팔다리 힘 빠짐, 의식 저하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뇌동맥류가 터지면 뇌출혈이 발생하는데, 특히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출혈은 일반적인 뇌출혈과 다릅니다. 이 경우는 뇌 지주막하 출혈로, 뇌를 싸고 있는 지주막이라는 공간에서 출혈이 일어납니다. 심장이 뛰면서 발생하는 수축기 혈압(예: 130~140mmhg)이 뇌로 전달되는데, 혈관 일부가 터지면 이 압력이 그대로 뇌 주변 공간에 작용합니다.
두개골이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 순간적으로 많은 혈액이 유입되면, 뇌는 압력을 받아 밀리거나 순간적으로 뇌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다만, 이런 지주막하 출혈 자체가 뇌 조직을 직접적으로 손상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뇌출혈처럼 뇌의 내부에서 터지는 경우에는 뇌 조직이 손상되지만, 지주막하 출혈은 뇌를 둘러싼 공간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히 치료하면 뇌 조직은 대부분 온전하게 보존됩니다.
지주막하 출혈이 발생한 경우에도 응급 치료가 신속하게 이뤄져 무리 없이 일상생활로 복귀한 경우도 많습니다.
기획 = 염진아 건강 전문 아나운서